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자동차 정기검사

     

    자동차를 소유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주목해주세요.

    겉으로는 멀쩡해보일지라도 보이지 않는 곳에 문제가 생겨 사고가 일어날 수도 있기때문에

    자동차 검사는 꼭 해야하는 과정입니다.

    주기적으로 검사를 해주어 어느 부분에 문제가 생겼는지 파악하고 수리를 하시면서 자동차를 타야

   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기 때문이죠.

    그렇다면 내 자동차가 검사 대상인지 비용은 얼마인지 과태료는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겠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👉 정기검사 예약 바로가기 👈

     

    자동차 검사대상

    ▶ 「자동차관리법」에 따라 등록되어 운행 중인 자동차

    = 종합검사 대상지역이 아닌 곳에서 등록되어 운행 중인 자동차

     

    👉 종합검사 대상지역 확인하기 👈

     

    자동차 정기검사 비용

     검사수수료는 부가세 포함이며, 재검사기간내 재검사수수료는 면제입니다.

     검사수수료 및 재검사수수료는 자동차관리법에 따라 정하도록 되어있으며, 변경될 수 있습니다.

     검사수수료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기준 금액이며, 지정정비사업자는 공단과 다를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자동차정기검사
    자동차정기검사

     

    수수료 감면 대상자 및 감면률

     

    자동차정기검사

     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검사소에서는 사회공헌활동의 일환으로, 사회적약자를 대상으로 정기검사 및 종합검사시 정상수수료의 일정비율을 감면해드립니다

    ※ 기타 감면사항과 합산 또는 중복되어 적용하지 않습니다.

     접수직원에게 감면대상자임을 말씀해주시면, 전산조회를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.

    전산확인이 불가능할 경우 정상수수료가 부과되며, 수검 후 60일 이내에 전산조회가 가능한 경우(요청시점 기준) 감면액을 환불해드립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자동차 검사기준 및 방법

     

    자동차정기검사

     

     

    자동차 배출가스 측정방법

    사용연료 검사구분 검사방법
    휘발유가스알코올 저속/고속 공회전 정지 상태에서 엔진 공회전(아이들링) 및 2500±300rpm으로 가동시키며 배출가스 측정
    경유 무부하 급가속 정지 상태에서 원동기의 최고회전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급속히 가속하여 매연농도 측정

     

    자동차 검사부적합 판정 항목

     「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」 제80조 제2항 제1호~제18호

     

     

    👉 부적합 판정 항목 확인하기 👈

     

     

    부적합 판정 자동차 재검사기간

     부적합 판정을 받은 날부터 10일 이내

     최고속도제한장치 관련 또는 배출가스 허용기준 위배로 인해 부적합 판정된 경우

     정기검사기간 전 또는 후에 정기검사를 신청한 경우

     검사기간 만료 후 10일 이내

     그 밖의 사유로 부적합 판정된 경우

     

    자동차 정기검사 유효기간

     

    자동차정기검사

     

     

    과태료 및 행정처분

     자동차 검사를 기간 내에 받지 않을 경우 60만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게 됩니다.

    위반기간 과태료
    기간 만료일로부터 30일 이내 4만원
    31일째부터 매3일 초과 시 2만원씩 가산
    115일 이상 60만원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▽ 함께보면 도움이 되는 글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자동차 세금 혜택 총정리, 연납 신청해서 자동차세 할인받자!

    자동차세란? ▶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내는 세금으로 운전을 하지 않아도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면 자동차세가 부과됩니다. 자동차세는 국세가 아닌 지방세이며, 기본적으로 자동차

    2.land-lala.com

     

     

    자동차 종합검사 대상지역 & 기간 & 비용 총정리

    자동차를 소유하고 계시는 분들은 자동차관리법에 따라 자동차 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. 시간이 흐를수록 내가 보지 못하는 부분에서 문제가 생겨 수리가 필요한 부분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

    2.land-lala.com

     

    반응형